작성일 : 2017-06-02 14:56 수정일 : 2019-12-09 11:01
태인허씨의 유래
시조 허사문(始祖 許士文)은 가락국(駕洛國) 김수로왕비(金首露王妃) 허황옥(許皇玉)의 30世孫으로 전해오고 있다. (註 : 許黃玉은 인도 阿踰陀國의 王女로 기록되어 있다.)
사문(士文)은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부마도위(駙馬都尉 : 임금의 사위)였으며 시산군(詩山君(詩山 : 泰仁의 옛 地名))에 封해졌다.
본관지 연혁
태인(泰仁)은 전북 정읍시(全北井邑市)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태산현(泰山縣)과 인의현(仁義縣)의 합명이다. 태산현은 본래 백제(百濟)의 대시산현(大尸山縣)을 통일 신라 시대에 경덕왕이 태산(太山), 또는 태산(泰山)으로 부르다가 고려 공민왕 때 군(郡)으로 승격(昇格)되었다.
인의현(仁義縣)은 백제 때 빈굴(賓屈),빈성(賓城), 부성(賦城) 등으로 부르다가 고려조 때에 인의(仁義)로 고쳤다. 1409년(李朝太宗 9年)에 태산(泰山)과 인의(仁義)를 합하여 태인현(泰仁縣)이 된 후 1895(高宗 32)년, 군(郡)으로 승격(昇格)되었고, 1913년 정읍군(井邑郡)에 합해져서 태인면(泰仁面)이 되었으며 현재는 정읍시 태인면(井邑市 泰仁面)이라 부르고 있다.
씨족사 개관
태인허씨족보(泰仁許氏族譜)에 의하면 가문(家門)을 대표하는 인물(人物)로 始祖의 六世孫 포(褒)가 고려 때 기천현령, 풍해도관찰사(奇川縣令, 豊海道觀察使) 등을 역임한 후 태산군(泰山君)에 봉해졌으며 始祖의 九世孫 전(巓)의 시호(諡號)는 문숙(文肅)이며 판상서, 이부사(判尙書, 吏部司)를 역임(歷任)한 후 시산부원군(詩山府院君)에 봉해졌다.
허경(許慶)은 始祖의 十二世孫으로 문학(文學)이 뛰어났고 청렴충직(淸廉忠直)하기로 이름이 났으며 여러 관직을 거쳐 좌우위보승산원중랑장(左右衛保勝散員中郞將)에 이르러 시차(致仕)하였다.
아들 六兄弟가 모두 官職에 올라 家門을 中興시켰는데 둘째아들 사문(斯文)은 조선조 기유(己酉 세종 11)년 춘장문과(春場文科)에 壯元한 후 홍문관 교리(弘文館校理)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에 이르렀고 사행(斯行)은 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사효(斯孝)는 진안현감(鎭安縣監), 사제(斯悌)는 文科에 급제(及第)하여 사평(司評)에 이르렀으므로 泰仁許氏 家門을 빛냈으며 그 후 五個派로 분파되어 내려오다가 현재는 13個 支派로 分派되었다.
* 詩山은 泰仁의 옛 이름임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태인허씨(泰仁許氏)는 전국에 6,870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인물
고려시대 인물
허사문(許士文) : 시조(始祖), 詩山君 高麗太祖駙馬
허집(許 楫) : 尙書
허징(許 澄) : 大阿湌
허황(許 璜) : 吏部侍郞
허인균(許仁均) : 諡, 仁景, 平章事. 金紫光祿大夫
허포(許 褒) : 豊海道觀察使. 泰山君
허엄(許 儼) : 兵部侍郞.
허벽(許 璧) : 員外郞.
허잠(許 岑) : 禮儀典書, 判尙書
허전(許 巓) : 諡 文肅 詩山府院君
허함(許 涵) : 典客僉正, 平章事
허윤(許 倫) : 月城府尹, 司宰令, 平章事
허경(許 慶) : 諡, 順平, 左右衛保勝散員中郞將
조선시대 인물
허사문(許斯文) : 成均博士, 司憲府持平, 弘文館校理
허사의(許斯義) : 생원(生員)
허사행(許斯行) : 사헌부감찰,상서원직장(司憲府監察, 尙瑞院直長)
허사효(許斯孝) : 진안현감(鎭安縣監)
허사제(許斯悌) : 통례원좌통찬,사평(通禮院左通贊.司評)
허승원(許承元) : 성균생원(成均生員)
허곤원(許昆元) : 성균생원(成均生員)
허철원(許哲元) : 승사랑, 행만호(承仕郞, 行萬戶)
허계원(許啓元) : 승사랑,비서승훈도(承仕郞 秘書丞訓導)
허회(許 會) : 조산대부,동궁습독(朝散大夫 東宮習讀)
허겸(許 謙) : 성균생원(成均生員)
허진(許 縉) : 참봉(叅奉)
허강(許 剛) : 병절교위(秉節校尉)
허숙현(許叔賢) : 중사마시 합격 성균진사(中司馬試 合格 成均進士)
허이중(許以重) : 무과선전 발포만호(武科宣傳 鉢浦萬戶)
허진동(許震童) : 수운판관, 통정대부감역판관(水運判官, 通政大夫監役判官)
허창동(許昌童) : 승사랑, 의영고봉사(承仕郞,義盈庫奉事)
허기(許 麒) : 종사랑, 음사참봉(從仕郞, 蔭仕叅奉)
허린(許 麟) : 종사랑(從仕郞,)
허구(許 龜) : 행의특제참봉(行義特除叅奉)
허구득(許九得) : 장사랑(將仕郞)
허맹동(許孟童) : 증통정대부(贈通政大夫)
허일생(許一生) : 성균생원(成均生員)
허태동(許兌童) : 군자감 참봉(軍資監 叅奉)
허구연(許九淵) : 정읍현감(井邑縣監)
허소(許 紹) : 영귀서원배향 처사(詠歸書院配享)處士
허계(許 繼) : 중사마시 합격, 영귀서원 배향 (中司 馬試 合格, 詠歸書院 配享)
허구잠(許九潛) : 어모장군 선전관 안렴사 (禦侮將軍 宣傳官 按廉使)
허구관(許九觀) : 봉사(奉事)
허집(許 緝) : 선봉감역(繕縫監役)
허진(許 縉) : 청풍부사(淸風府使)
허찬(許 纘) : 상의원 별좌(尙衣院 別坐)
허중화(許仲和) : 종사랑 선전봉사(從仕郞 宣傳奉事)
허원(許 遠) : 장사랑 군자감 참봉(將仕郞,軍資監 叅奉)
허익(許 益) : 창의사(倡義士)
허지희(許之熙) : 정사공신 동지충추부사(定仕功臣 同知中樞府事)
허지길(許之吉) : 내빈시 봉사(內賓寺奉事)
허지관(許之寬) : 장사랑(將仕郞)
허지명(許之命) : 장사랑 봉사(將仕郞奉事)
허지림(許之立)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허수원(許守願) : 성균진사(成均進士)
허광호(許光湖) : 문과급제선전봉사(文科及第宣傳奉事)
허상징(許尙徵) :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嘉善大夫 戶曹參判 兼 同知義禁府事)
허섬(許 暹) : 성균진사, 봉훈랑 장릉참봉 병자의사(成均進士 奉訓郞章陵叅奉 丙子義士)
허정량(許廷亮) : 임란시 효자정려, 병자의사(壬亂時 孝子旌閭 丙子義士)
허정열(許廷說) : 장사랑(將仕郞)
허정호(許廷虎) : 장사랑 군자감참봉(將仕郞軍資監叅奉)
허정헌(許廷憲) : 장사랑(將仕郞)
허귀억(許貴億) : 병절교위 행충부위좌부장순국 일등공신(秉節校尉 行忠武衛左副將殉國 一等功臣)
허수(許 壽) : 무과급제 좌부장선전봉사(武科及第 左副將宣傳奉事)
허국(許 國)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허단(許 檀) : 절위장군 첨지중추부사(折衛將軍 僉知中樞府事)
허일(許 鎰) : 가선대부 이조판서(嘉善大夫 吏曹判書)
허윤(許 鈗) : 통정대부 참봉(通政大夫 叅奉)
허영립(許英立) : 전력부위 권지훈련부봉사(忠勳府贊展 力副尉 權知訓練院奉事)
허준립(許俊立) : 문과급제 선전(文科及第宣傳)
허석벽(許碩璧)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 同知樞府事)
허정익(許廷益) : 병절교위(秉節校尉)
허정윤(許廷尹)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허정주(許廷周) : 통훈대부 전력부위권지훈련원판관 선전판관(通訓大夫 展力副尉權知訓練院判 官宣傳官)
허승만(許承萬) : 증 동몽교관(贈童蒙敎官)
허상태(許尙泰) :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허경(許 景) : 무봉사 전력부위용양사과통덕랑(武奉事 展力副尉龍驤司果通德郞)
허린(許 璘) : 통덕랑(通德郞)
허윤(許 玧) : 통정대부 절충장군 가선대부 동지중 추부사(通政大夫 折衝將軍 嘉善大夫 同知中樞府事)
허윤(許 允) : 증 통정대부 사복시정(贈 通政大夫 司僕寺正)
허요(許 橈) : 증 통정대부 호조참판 오위도총부위총관(贈 通政大夫 戶曹參判 五衛都摠府衛摠官)
허성설(許相卨) : 증 정헌대부 병조판서(贈正憲大夫 兵曹判書)
허권(許 權) : 절충장군 중추부사(折衝將軍中樞府事)
허상(許 相) : 통정대부 중추부사(通政大夫中樞府事)
허권(許 權) : 호 돈재 대유학자 역천송흠과 청단사에 배향(號 遯齋 大儒學者 與櫟泉宋欽 靑丹祠에 配享)
허점(許 漸) : 증 가선대부 동지중추부사(贈 嘉善大 夫 同知中樞府事)
허하(許 河) : 증 이조참의(贈 吏曹參議)
허수(許 洙) : 통정대부(通政大夫)
허권(許 權) : 成均進士 贈 中學校敎官
허난(許 煖) : 증 통정대부 승정원좌승지(贈 通政大夫 承政院左承旨)
허대석(許大錫) : 증 가선대부 호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贈 嘉善大夫 戶曹參判 兼 同知義禁府事)
허당(許 儻) : 증 동몽교관 겸 가선대부 (贈 童蒙敎官 兼 嘉善大夫)
허유(許 儒) : 성균진사(成均進士)
허억(許 億) : 호조참판(戶曹參判)
허필(許 佖) : 증 통정대부 장례원 장례(贈 通政大夫 掌隷院 掌禮)
허몽(許 濛) : 증 통정대부 덕릉참봉(贈 通政大夫 德陵叅奉)
허혁(許 爀) : 정삼품 통정대부(正三品 通政大夫)
허방환(許邦煥) : 행 혜민원주사 소경원 참봉(行 惠民院 主事 昭慶園 叅奉)
허성(許 晟) : 고부현감(古阜縣監)
허정선(許廷善) : 중사마시 합격(中司馬試 合格)
허국빈(許國賓) : 중사마시 합격(中司馬試 合格)
허국순(許國錞) : 참봉(叅奉)
허국양(許國良) : 종사랑(從仕郞)
허재후(許載厚) : 성균생원(成均生員)
허학(許 㶅) : 중사마시 합격(中司馬試合格)
허서(許 瑞) : 동몽교관 조봉대부 추증(童蒙敎官 朝奉大夫 追贈)
허정(許 晸) : 무과급제 선전관 수사(武科及第 宣傳官 水使)
허찬(許 燦) : 통정대부(通政大夫)
허유(許 楢) : 통정대부(通政大夫)
허형(許 蘅) : 통정대부 용호위부호군(通政大夫 龍護衛副護軍)
허봉(許 蓬) : 증 종이품가선대부 의정부찬정보문각직학사(贈 從二品嘉善大夫 議政府贊政寶文閣直學士)
허첩(許 堞) : 통정대부 능참봉(通政大夫陵叅奉)
허석제(許錫齊) : 증 종이품가선대부 의정부찬정규장각부제학사(贈 從二品嘉善大夫 議政府贊政奎章閣副提學士)
허석우(許錫祐) : 성균진사(成均進士)
허영(許 泳) : 통사랑 감역 행선략장군 (通仕郞, 監 役行宣略將軍)
허경원(許景源) : 증 정이품자헌대부의정부찬정홍문관태학사(贈 正二品資憲大夫議政府贊政弘文館太學士)
허익상(許益相) : 자 수연 효행(字 水衍 孝行)
허상룡(許相龍) : 중추원의관정삼품통정대부비서감 종이품가선대부특종원경(中樞院議官正三品通政大夫秘書監 從二品嘉善大夫特從院卿)
허상붕(許相鵬) : 통정대부 행돈영부도정(通政大夫 行敦寧府都正)
허장원(許張源) : 가선대부(嘉善大夫)
허방(許 方) : 가선대부(嘉善大夫)
허검(許 儉) : 가선대부(嘉善大夫)
허임(許 荏) : 통정대부(通政大夫)
허수(許 樹) :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