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씨의 유래

성씨의 유래

수원최씨시조(水原崔氏),최상저,수원최씨조상인물

작성일 : 2017-05-24 17:55 수정일 : 2019-02-14 10:08

수원최씨의 연원(水原崔氏의 淵源)

수원최씨의 선계(先系)는 신라개국공신(新羅開國公臣) 소벌공(蘇伐公)이다. 시조(始祖)는 고려수주부 호장(高麗水州府戶長) 상저(尙翥)이고, 그의 아들 누백(屢伯)은 고려 의종(毅宗, 1146) 때 한림원 학사(翰林院 學士)를 지낸 효숙공(孝肅公)이다.

최상저가 수원 홍법산(洪法山) 아래 호장가(戶長家)라 부르는 집터에서 살 때 산행(山行)갔다가 호식(虎食)을 당하자, 누백의 나이 15세에 호랑이를 잡고자할 때 어머니가 간곡히 만류하는 데도 불구하고 누백이 “아버지의 원수를 어찌 아니 갚겠나이까” 하고 즉시 도끼를 메고 호랑이를 추적(追跡)하여 도끼로 호랑이를 찍어 죽이고 아버지의 시체(屍體)를 찾아서 장례(葬禮)하였다. 시묘삼년(侍墓三年)에 슬퍼하기를 하루같이 예제(禮祭)를 지냈다. 고려 사대부도 삼년상을 지키는 사람이 적고, 장례를 예대로 행하는 자가 드믄 시기였기에 인간의 도리를 다한 그의 효는 참으로 위대하다. 이 일이 유교(儒敎)를 북돋아 효숙공 효(孝)의 명성이 삼강행실(三綱行實)에 기재되어 지금까지 칠백여년간 제사(祭祀)를 모셔왔다.

누백공의 부인(夫人) 봉성현군(峯城縣君) 염경애(廉瓊愛)는 검교상서 우복야 대부소향(檢校尙書右僕射 大府小鄕) 염덕방(廉德方)의 딸이다. 출가하기 전에는 부모를 잘 모셨고 출가하여서는 부도(婦道)를 힘써 닦으며 부모의 뜻을 이어 받아 효도하고 친척의 길흉경조(吉凶慶弔)에도 정성을 다하였다. 고려 인종(仁宗) 24년(1146) 염씨가 자기집에서 죽자, 누백이 효숙공 초취부인 봉성현 염씨 묘지 지석문(孝肅公 初娶夫人 峯城顯 廉氏 墓地 地石文)을 옥석(玉石)에 썼는데, 이 묘비(墓碑)가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奎章閣)에 보관되어 있다.

수원최씨의 분파(分派)는 6개파로서, 제1파 참판공 수영(參判公, 壽泳), 제2파 헌납공 수정(獻納公, 壽汀), 제3파 경헌공 성인(敬憲公, 性仁), 제4파 목사공 윤성(牧使公, 允誠), 제5파 상서공 천반(尙書公, 天盤), 제6파 직장공 신경(直長公, 臣慶)이다.

수원최씨는 水原, 화성, 서울, 경기도 광주, 충청남도, 전남 나주, 평안도, 함경도 지방에서 뿌리를 이어오고 있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수원최씨는 전국에 14,687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인물-수원최씨조상인물

고려시대 인물

최누백(崔屢伯) : 호(號) 모헌(慕軒) 의종 때 문과에 등용되어 정의대부(正義大夫) 한림원 학사(翰林院 學士)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 기거사인(起居舍人) 국자감사업(國子監司業)에 이르게 되었다. 시호(諡號):효숙공(孝肅公) 수원부구읍(水原府舊邑)에 정려비(旌閭碑)를 세우도록 했으며, 향교동 장위교(鄕校洞 長葦橋)에 예관(禮官)을 파견하여 제사를 지내게 했다. 이조 세종(世宗) 14년(1432년)에 자헌대부(資憲大夫) 예조판서(禮曹判書)가 증직되었다.

수기촌(水機村) 방축동(防築洞)에 크고 빼어난 바위를 효암(孝巖)이라 하는데 이는 최누백(崔屢伯)의 여막(廬幕)이 그 바위 옆에 있었기 때문에 세종대왕께서 세종 14년(1432)에 명명하신 것이다.

월정(月汀) 윤근수(尹根壽)가 명나라 사신들을 맞이할 때 예부(禮部)에서 각기 제 나라 국보를 자랑하는데, 윤근수는 아무 말이 없다가 자랑할만한 보물을 말해 달라는 요청을 받고 대답하기를 “귀한 보물보다도 특별한 효열(孝烈)로서 보물을 삼는다” 하고는 누백공 이야기를 하자 만좌한 사신들이 저마다 찬탄하면서 “기특하고 어려운 일이라 이와 같은 효행은 비단 동국지보(東國之寶) 뿐만이 아니라 만천하의 보물입니다.”라고 칭송하여 마지 않았다.

화성잡기(華城雜記)에 의하면 최누백 학사(崔屢伯 學士)는 조송산경(趙松山狷), 이둔촌집(李遁村集), 이고(李皐) 등과 함께 팔학사(八學士)에 속한다. 황필수(黃泌秀)는 “최학사가 선조들을 위하는 일이나 수원 망천(忘川)에서의 그 우국지정을 불태우는 일은 그 시대가 따르지 못하는 위대한 일이다. 학사는 조정에 있어서나 세속에 있어서나 위국일념으로 그 충절을 저버릴 수 없었다. 그의 충성심이야말로 어찌 거짓일 수 있겠는가.”라고 쓰고 있다.

최신경(崔臣慶) : 문과관(文科官) 조청랑(朝請郞) 상의국(尙衣局) 직장(直長)

최천반(崔天盤) : 문과(文科)에 올라 은청광록대부(銀靑光綠大夫) 병부상서(兵部尙書) 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

최윤성(崔允誠) : 관직(官職) 통정대부(通政大夫) 황주목사(黃州牧使)

조선시대 인물

최수영(崔壽泳) : 문과(文科)에 올라 통훈대부(通訓大夫)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 참좌리공신(參左理公臣) 가선대부(嘉善大夫) 이조판서(吏曹判書)로 증직

최수정(崔壽汀) : 문과 관직(官職) 통대부(通大夫) 사간원(司諫院) 헌납공(獻納公)

최성인(崔性仁) : 호(號) 몽촌(夢村) 숭정대부판의금부사(崇政大夫判義禁府事) 증시(贈諡) 경헌공(敬憲公)

최종(崔 淙) : 무과(武科) 어모장군(禦侮將軍) 군기사판관(軍器寺判官) 이등공신(二等功臣)

최덕량(崔德良) : 통정대부(通政大夫) 선무(宣武) 1등 공신 가선대부(嘉善大夫) 병조참판(兵曹參判)으로 추증 시호는 충장공(忠裝公)

최정립(崔廷岦) : 자(字) 자윤(子潤) 숙종 때 가선대부 동지 충추부사(嘉善大夫 同知 中樞府事)

최치명(崔致明) : 자(字) 익장(益長) 가선대부 동지 중추부사(嘉善大夫 同知 中樞府事)

최경(崔 景) : 자(字) 대재(大哉) 무과(武科) 가선대부 동지 중추부사(嘉善大夫 同知 中樞府事)

최수창(崔壽昌) : 자(字) 백인(伯仁) 영조(英祖) 때 직장(直長) 증참판(贈參判)

최식(崔 寔) : 절충장군(折衝將軍) 첨지(僉知) 중추부사(中樞府事)

최제형(崔悌亨) : 통훈대부 군자 감정(通訓 大夫 軍資 監正)

최구석(崔龜錫) : 가선 대부 병조참판(嘉善大夫 兵曹參判)

최득창(崔得昌) : 가선 대부 공조참판(嘉善大夫 工曹參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