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일 : 2017-04-22 14:55 수정일 : 2018-08-30 11:41
함종어씨(咸從魚氏)의 연원(淵源)
우리 어씨(魚氏)는 본래(本來) 중국(中國)풍익(馮翊) 사람으로 남송(南宋)때에 동(東)쪽으로 난(亂)을 피(避)하여 처음에는 강원도(江原道) 강릉(江陵)에 오셨다가, 그 후(後) 평안도(平安道) 함종현(咸從縣)으로 가시어서 관향(貫鄕)을 함종(咸從)으로 하시고, 뒤에 또 칠세(七世) 중랑장공(中郞將公) 휘(諱) 준량(遵亮)께서 경상도(慶尙道) 진주(晉州)로 옮기셨다.
우리 함종어씨(咸從魚氏)는 그 근본(根本)을 옛날로 거슬러 올라가 보면, 중국(中國)의 좌풍익 (左馮翊) (至今의 陝西省大荔縣)으로 부터 송(宋) 나라 영종(寧宗) 때에 난(亂)을 피(避)하여 동래 (東來) 하였는데, 좌풍익(左馮翊)의 어씨(魚氏)는 곧 황제(黃帝)의 후손(後孫)이라 한다.
황제(黃帝)는 중국(中國) 상고(上古)의 제왕(帝王)으로 복희씨(伏羲氏). 신농씨(神農氏)와 더불어 삼황(三皇)이라 일컬었으며, 기원전(紀元前)2700년(年) 경(頃)에 천하(天下)를 통일(統一)하여 문자(文字). 수레. 배등을 만들고 도량형(度量衡).약법(藥法).역법(曆法).음악(音樂).잠업(蠶業) 등 많은 문물(文物)과 제도(制度)를 확립(確立)하여 인류(人類)에게 문화생활(文化生活)을 전(傳)해 주었다고 한다. 또 황제(黃帝)는 서릉(西陵)의 딸에게 장가들었으며, 이 여인(女人)은 누조(嫘祖)라고 하는데 이에 황제(黃帝)의 정비(正妃)로서 두 아들을 낳았으니 그 후손(後孫)은 모두 천하(天下)를 가졌다 한다.
인 구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 의하면 함종어씨는 남한에 15,746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역대 인물-함종어씨조상인물
고려시대 인물 (高麗時代人物)
어화인(魚化仁) : 함종어씨 시조(始祖), 호 장동정(戶長同正)
어영기(魚永寄) : 도령낭장(都令郎將)
어진명(魚振名) : 호 장동정(戶長同正)
어진승(魚振升) : 검교위장군(檢校衛將軍)
어신후(魚信侯) : 도령낭장(都令郎將)
어군보(魚君輔) : 동정(同正)
어우성(魚禹成) : 금오위대장군(金吾衛大將軍)
어공백(魚恭伯) : 낭장(郎將)
어석공(魚石公) : 판검교군기감(判檢校軍器監)
어송우(魚松祐) : 승봉랑(承奉郞)
어준량(魚遵亮) : 중랑장(中郞將)
어천록(魚天祿) : 중낭장(中郎將)
어영록(魚永祿) : 호장동정(戶長同正)
어방보(魚邦寶) : 판사재시사(判司宰寺事)
어득룡(魚得龍) : 전객서령(典客署令)
어백룡(魚伯龍) : 병부시랑(兵部侍郞)
어승귀(魚承貴) : 중랑장(中郞將)
어세린(魚世麟) : 지의주사(知宜州事)
어백유(魚伯游) : 삼사좌윤(三司左尹)
어중유(魚仲游) : 시랑(侍郞)
조선시대 인물(朝鮮時代人物)
어덕명(魚德明) : 검교한성판윤(檢校漢城判尹)
어덕생(魚德生) : 공조판서(工曹判書)
어덕상(魚德常) : 부정(副正)정산현감(定山縣監)
어연(魚 淵) : 호.월정(號.月亭)대구현령(大邱縣令) 大邱縣令 贈.戶曹判書.號月亭.諱魚淵之墓 贈.貞夫人咸安李氏之墓 (文化財第224號1995年5月2日慶尙南道指定) 位置:慶南咸安郡山仁面內仁里
어종선(魚從善) : 사직(司直)
어종리(魚從理) : 충순위(忠順衛)
어한강(魚漢江) : 만호(萬戶)
어한수(魚漢水) : 사직(司直)
어변갑(魚變甲) : 자. 자선(子先) 호.면곡(綿谷) 집현전직제학(集賢殿直提學)
어변린(魚變鱗) : 봉훈랑(奉訓郞)현감(縣監)
어변질(魚變質) : 낙안교수(樂安敎授)
어경양(魚敬良) : 진사(進士)삼척교수(三陟敎授)
어경충(魚敬忠) : 교수(敎授)
어효첨(魚孝瞻) : 자.만종(萬從)호.구천(龜川) 시. 문효(諡.文孝)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어효정(魚孝貞) : 부산첨사 (釜山僉使)
어효원(魚孝源) : 별좌(別坐)
어효양(魚孝良) : 사직(司直)
어효근(魚孝根) : 사온서직장(司醞署直長)
어세광(魚世光) : 사직(司直)
어영년(魚永年) : 통정대부(通政大夫)
어연년(魚延年) : 교수(敎授)
어세겸(魚世謙) : 자. 자익(子益)호.서천(西川)시.문정(諡.文貞) 함종군(咸從君) 의정부좌의정(議政府左議政) 익대공신3등(翊戴功臣3等) 함종부원군(咸從府院君)
어세공(魚世恭) : 자.자경(子敬) 호.송서(松西) 시.양숙(諡.襄肅) 아성군(牙城君) 호조판서(戶曹判書) 적개공신2등(敵愾功臣2等)
어세익(魚世益) : 양산현감(良山縣監)
어세환(魚世桓) : 도사(都事)
어사룡(魚四龍) : 부호군(副護軍)
어한륜(魚漢綸) : 사직(司直)
어맹렴(魚孟濂) : 자. 영부(泳夫)사헌부감찰(司憲府監察)
어맹순(魚孟淳) : 자. 호연(浩然)양양부사(襄陽府使) 함종군(咸從君)
어맹혼(魚孟渾) : 자. 지연(之然)호군(護軍)
어맹제(魚孟濟) : 병절교위(秉節校尉)
어맹담(魚孟湛) : 병절교위(秉節校尉)
어맹종(魚孟淙) : 사과(司果)
어맹탄(魚孟灘) : 자. 정기(靜沂)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득강(魚得江) : 자. 자유(子游) 호. 관포(灌圃) 사간원대사간(司諫院大司諫)
어영준(魚泳濬) : 자. 언심(彦深) 호. 송정(松亭) 사헌부집의(司憲府執義)
어영렴(魚泳濂) : 경주목사(慶州牧使)
어영란(魚泳瀾) : 충훈위(忠訓衛)
어응성(魚應星) : 충좌위. 부사직(忠佐衛.副司直)
어숙정(魚叔貞) : 자. 사길(士吉) 평능도찰방(平陵道察訪)
어숙평(魚叔平) : 자. 국형(國衡)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아산군(牙山君)
어숙정(魚叔正) : 영덕현령(盈德縣令)
어숙권(魚叔權) : 호. 야족당(號. 也足堂) 어모장군부호군(禦侮將軍副護軍). 원종공신(原從功臣)
어숙형(魚叔亨) : 자. 달언(達彦) 교수(敎授)
어숙훈(魚叔勳) : 첨정(僉正)
어숙의(魚叔義) : 자. 이중(宜仲) 현감(縣監)
어숙예(魚叔禮) : 현감(縣監)
어숙영(魚叔英) : 도사(都事)
어숙호(魚叔豪) : 증. 형조참의(贈刑曹參議)
어숙화(魚叔和) : 자. 순명(順命) 예조참판(禮曹參判)
어사현(魚士賢) : 금정도찰방(金井道察訪)
어사한(魚士漢) : 자. 치빙(致聘) 증. 공조참의(贈.工曹參 議)
어계림(魚季琳) : 자. 중옥(仲玉) 충좌위대호군(忠佐衛大護軍)
어계호(魚季瑚) : 호군(護軍)
어계선(魚季瑄) : 자. 선지(瑄之) 전한. 직제학(典翰.直提學) 아성군(牙城君)
어계옥(魚季玉) : 자. 옥지(玉之) 증․호조참의(贈戶曹參議)
어계장(魚季璋): 자. 군옥(君玉) 동부참봉(東部參奉)
어종해(魚宗海) : 훈련참군(訓練參軍)
어계침(魚季琛) : 충의위(忠義衛)
어계완(魚季琬) : 자. 군헌(君獻) 사과(司果)
어계련(魚季璉) : 자. 사기(士器) 부호군(副護軍)
어계원(魚季瑗) : 자. 원지(瑗之) 증. 호조참판(贈戶曹參判)
어계진(魚季榛) : 자. 선배(善培) 공조정랑(工曹正郞)
어영담(魚泳潭) : 창성부사(昌城府使). 광양현감(光陽縣監)
어몽택(魚夢澤) : 자. 경시(景施) 제용감직장(濟用監直長)
어운한(魚雲翰) : 평구도찰방(平邱道察訪)
어흥남(魚興南) : 부호군(副護軍)
어진준(魚震俊) : 통정대부(通政大夫)
어희벽(魚希璧) : 훈련원봉사(訓練院奉事)
어희진(魚希軫) : 장락원정(掌樂院正)
어희두(魚希斗) : 증. 통정대부(贈.通政大夫)
어천의(魚天檥) : 첨정(僉正)
어천주(魚天柱) : 자. 지중(支仲)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천추(魚天樞) : 평구도찰방(平邱道察訪)
어충지(魚忠祉) : 별좌(別坐)
어충복(魚忠福) : 자. 성지(成之) 충좌위대호군(忠佐衛大護軍)
어충우(魚忠祐) : 수사(水使)
어운해(魚雲海) : 자 .경유(景游) 호.하당(荷塘) 평창군수(平昌郡守)
어운택(魚雲澤) : 자. 경잠(景潛) 장예원사평(掌隸院司評)
어영로(魚榮老) : 자 여룡(汝龍) 판관(判官)
어익신(魚翼伸) : 자. 익여(翼汝) 충좌위좌부장(忠佐衛左部將)
어광한(魚光漢) : 병절교위(秉節校尉)
어문한(魚文漢) : 병절교위(秉節校尉)
어세린(魚細鱗) : 충무위상호군(忠武衛上護軍)
어영린(魚泳鱗) : 부사직(副司直)
어조린(魚照鱗) : 어모장군부사직(禦侮將軍副司直)
어운기(魚雲起) : 충의위(忠義衛)
어운한(魚雲翰) : 자. 승보(昇甫) 수동지중추부사(壽同知中樞府事)
어종한(魚宗漢) : 김해부사(金海府使)
어종해(魚宗海) : 사온서주부(司醞署主簿)
어운호(魚雲湖) : 자. 경심(景深) 병절교위(秉節校尉)
어운함(魚雲涵) : 자. 경영(景泳)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운황(魚雲滉) : 자. 태호(太浩)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운성(魚雲醒) : 자. 명여(明汝) 사과(司果)
어대운(魚大雲) : 수통정대부(壽通政大夫)
어대복(魚大福) : 수가선대부(壽嘉善大夫)
어진해(魚震海) : 자. 만리(萬里) 병절교위. 용양위부사과(秉節校尉龍讓衛副司果)
어득해(魚得海) : 경안도찰방(慶安道察訪)
어세걸(魚世傑) : 증.형조참의(贈刑曹參議)
어세필(魚世弼) : 자.필지(弼之) 형조참의(贈刑曹參議)
어제창(魚濟昌) : 자. 자성(子成) 호.죽헌(竹軒) 용양위부호군(龍讓衛副護軍)
어등급(魚登級) : 자. 덕광(德光) 호조좌랑(戶曹佐郞)
어숭급(魚崇級) : 자. 덕헌(德顯): 증. 호조참의(贈戶曹參議)
어몽인(魚夢寅) : 자. 비섭(丕燮) 판관(判官)
어몽린(魚夢麟) : 자. 서중(瑞仲)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어몽룡(魚夢龍) : 자. 견보(見甫) 호.설곡(雪谷) 전의현감 묵매도(全義縣監.墨梅圖)
어몽렴(魚夢濂) : 자. 사영(士泳) 호. 온수당(隱睡堂).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어몽한(魚夢漢) : 증. 호조참판(贈戶曹參判)
어몽한(魚夢漢) : 자. 한지(漢之) 증. 호조참의(贈戶曹參議)
어익해(魚益海) : 자. 중운(仲運) 증. 공조참의(贈工曹參議)
어몽흥(魚夢興) : 자. 겸오(兼五). 통정대부(通政大夫)
어해룡(魚海龍) : 가선대부(嘉善大夫)
어문옥(魚文沃) : 자. 여징(汝澄) 증. 형조참판(贈刑曹參判)
어문윤(魚文潤) : 호.동계(東溪)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덕빈(魚德빈) : 자. 겸숙(兼叔) 형조참판겸동지의금부도사(刑曹參判.兼同知義禁府都事)
어문해(魚文海) : 통덕랑(通德郞)
어문속(魚文涑) : 용양위부사과(龍讓衛副司果)
어기영(魚起瀛) : 자. 중거(仲擧)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기락(魚起洛) : 자. 자룡(子龍): 운산군수(雲山郡守)
어극명(魚克明) : 자. 자소(子昭). 충좌위부사과(忠佐衛副司果)
어한명(魚漢明) : 자 .여량(汝亮) 시 충경(諡 .忠景) 판관(判官)
어준명(魚俊明) : 자. 여호(汝豪) 호조참의(戶曹參議)
어중명(魚重明) : 자. 회숙(晦叔) 승정원좌승지(承政院左承旨)
어진한(魚震翰) : 자. 한백(翰伯) 증.호조참판(贈.戶曹參判) 도총관(都摠管)
어지명(魚智明) : 자. 화중(和仲)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도명(魚道明) : 자. 명재(明哉) 동부주부(東部主簿)
어석명(魚錫明) : 자. 천여(天與). 증. 호조참판(戶曹參判)
어서룡(魚瑞龍) : 자. 자문(子文) 장연부사(長淵府使)
어화곤(魚化鯤) : 자. 천리(千里) 낙안교수(樂安敎授)
어강명(魚江明) : 자. 옥청(玉淸) 증. 동지중추부사(贈同知中樞府事)
어약수(魚若水) : 부장(部將)
어숙명(魚淑明) : 자. 회경(晦卿) 증. 좌승지(贈左承旨)
어망강(魚望江) : 절충장군(折衝將軍)
어도형(魚道衡) : 자. 방윤(邦允) 수동지중추부사(壽.同知中樞府事)
어도관(魚道貫) : 자. 관지(貫之) 증.가선대부(贈嘉善大夫)
어도진(魚道鎭) : 자 진지(鎭之).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도태(魚道泰) : 자 안백(安伯)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도백(魚道伯) : 자.고백(高伯) 가선대부(嘉善大夫)
어경국(魚擎國) : 자.경지(敬之)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도항(魚道恒) : 통정대부(通政大夫)
어상건(魚尙健) : 조산대부(朝散大夫)
어상준(魚尙儁) : 자. 준백(俊伯) 병조정랑(兵曹正郞)
어상길(魚尙佶) : 자. 정백(正伯)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진창(魚震昌) : 자 .덕보(德甫) 충좌위부사용(忠佐衛副司勇)
어진열(魚震說) : 자. 열지(說之) 병조정랑(兵曹正郞)
어진익(魚震翼) : 자. 익지(翼之) 호.겸재(謙齋): 강원관찰사(江原觀察使)
어진석(魚震奭) : 자 .군석(君奭) 호.낙파(駱坡)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진척(魚震陟) : 자.백승(伯升): 형조정랑(刑曹正郞)
어진성(魚震成) : 자. 용백(龍伯) 첨정(僉正)
어진문(魚震汶) : 자. 군욱(君郁)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진혁(魚震赫) : 자. 경백(驚百)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진한(魚震翰) : 자. 한백(翰伯) 호조참판(戶曹參判)
어진동(魚震東) : 자.군채(君彩)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진한(魚震翰) : 자.대익(大翼)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진해(魚震海) : 자.용계(龍季) 수동지중추부사(壽.同知中樞府事)
어한급(魚翰級) : 자.자일(子一) 군자감정(軍資監正)
어진설(魚震契) : 자.계광(季廣) 증. 통정대부(贈通政大夫)
어진우(魚震羽) : 자.척구(陟九) 호조참의(戶曹參議)
어진급(魚震級) : 자.통구(通九)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봉선(魚奉善) : 통정대부(通政大夫)
어태기(魚泰琦) : 자.성선(聖宣) 통정대부(通政大夫)
어종하(魚宗夏) : 자.처안(處安) 증. 통정대부(贈通政大夫)
어종대(魚宗大) : 자.대측(大則) 수. 동지중추부사(壽.同知中樞府事)
어윤조(魚胤祚) : 자.유언(裕彦)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태홍(魚泰弘) : 증통정대부(通政大夫)
어태구(魚泰龜) : 자. 구서(龜瑞) 충무위부사직(忠武衛副司直)
어태린(魚泰麟) : 자. 성서(聖瑞)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태준(魚泰俊) : 자. 내수(乃壽) 사복시정(司僕寺正)
어수장(魚壽長) : 자. 남로(南老) 충좌위부장(忠佐衛部將)
어수익(魚壽益) : 자. 동로(東老) 충좌위부호군(忠佐衛副護軍)
어수담(魚壽聃) : 자. 팽로(彭老) 증. 호조참의(贈.戶曹參議)
어수만(魚壽萬) : 자. 천로(天老) 중훈대부(中訓大夫)
어수일(魚壽一) : 자. 대로(大老) 부사(府使)
어사빈(魚史彬) : 자. 문숙(文叔)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어사주(魚史周) : 자. 노경(老卿) 상의원첨정(尙衣院僉正)
어사충(魚史忠) : 자. 국보(國寶) 고원군수(高原郡守)
어사형(魚史衡) : 자. 자평(子平) 한성부우윤(漢城府右尹)
어사휘(魚史徽) : 자. 미재(美哉) 승정원좌부승지(承政院左副承旨)
어사경(魚史經) : 자.정숙(正叔)용안현감(龍安縣監)
어사상(魚史商) : 자.상경(商卿)사정(司正)
어사적(魚史績) : 자.명숙(明叔)익산군수(益山郡守)
어사정(魚史正) : 자.평보(平甫)만호(萬戶)
어사장(魚史長) : 자.자삼(子三)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사필(魚史弼) : 자.성보(聖輔)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사의(魚史義) : 자.군직(君直)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어사수(魚史壽) : 자.자화(子和)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사혼(魚史渾) : 장낙원정(掌樂院正)
어득립(魚得立) : 부호군(副護軍)
어한명(魚漢明) : 자.한보(漢甫)예빈주부(禮賓主簿)
어사용(魚史庸) : 자.자항(子恒):증.예조판서(贈.禮曹判書)
어사영(魚史泳) : 자.사함(士涵)용양위부호군(龍讓衛副護軍)
어사수(魚史洙) : 자.성유(聖游)사정(司正)
어사규(魚史規) : 자.자원(子圓)증.호조참판(贈戶曹參判)
어사섭(魚史涉) : 자.사술(士述)증.호조판서(贈戶曹判書)
어사석(魚史碩) : 자.석보(碩甫)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어화룡(魚化龍) : 통정대부(通政大夫)
어귀안(魚貴安) : 통정대부(通政大夫)
어윤신(魚潤身) : 자.치회(穉晦)증.군자감정(贈軍資監正)
어인영(魚寅英) : 자.계웅(季雄)증.승정원좌승지(贈承政院左承旨)
어치현(魚致玄) : 자.성여(聖汝)수.통정대부(壽.通政大夫)
어대겸(魚大謙) : 자.양중(良中)증.승정원좌승지贈承政院左承旨)
어경서(魚景瑞) : 자.몽여(夢與):충좌위부사과(忠佐衛副司果)
어경량(魚景亮) : 자.한경(漢卿)공주영장(公州營將)
어경윤(魚景尹) : 자.사형(士衡)충좌위사과(忠佐衛司果)